관리보전지역 행위제한1 절대보전지역과 상대보전지역 그리고 관리보전지역 이해 제주도 땅을 살펴보다 보면 토지이용계획서의 '지역지구등의 지정여부' 칼럼에 절대보전지역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아래 그림을 보면 토지이음 사이트에서 제주도의 지번을 검색한 결과 나온 토지이용계획서인데요. 이런 지역은 근거가 제주특별법에만 명시되어 있어서 제주도에만 있고요. 절대보전지역 지정 및 행위제한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약칭 제주특별법) 제355조(절대보전지역)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는데요. 도지사는 도의회의 동의를 받아 자연환경의 고유한 특성을 보호하기 위해서 절대보전지역을 지정할 수 있다고 하는데, 한라산·기생화산·계곡·하천·호소·폭포·도서·해안·연안·용암동굴 등으로서 경관이 뛰어난 지역, 수자원과 문화재 보존을 위해 필요한 지역 등에 대해.. 2023. 1.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