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고시2021-591 하수관로와 정화조 오수처리시설 용량 산정 상가 건물에 임차를 할 경우에 눈여겨봐야 할 것 중에 하나가 정화조 용량인데요. 자칫 간과할 경우 낭패를 볼 수도 있는데요. 이런 과정을 무시하고 덜렁 계약을 했다가 낭패를 볼 수도 있는데요. 오늘은 정화조에 대해 알아볼게요. 근거 법령 및 용어 설명 정화조는 하수도법에 그 근거를 두고 있고요. 하수도법 제2조(정의)를 보면 여러 가지 용어에 대해 정의를 해 놨는데, 그중에 '하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요. 하수는 '오수'와 '우수'를 총칭하는 용어인데요. '오수'는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분뇨'와 욕실,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인 '생활하수'를 지칭하고요. '우수'는 '빗물'과 '지하침출수' 같은 것이고요. 하수를 이동시키는 방식에는 '분류식'과 '합류식' 하수관로가 있는데요. 분류식은 오수와 우.. 2023. 1.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