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대장 임야대장 이해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공부

토지대장 임야대장 이해

by 도전하는나 2022. 9. 16.

부동산 공부

 

오늘은 부동산 지적공부 중에 하나인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볼까 하는데요. 이 지적공부들은 건축물대장과 같이 복잡하지 않고 심플해요! 그래도 관심을 갖고 봐야 할 부분이 있으니 그 부분만큼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요! 이 공부들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를 두고 있고요! 이는 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보면 되는데요! 일단 먼저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의 차이부터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겠네요!

 

호치민 여행자의 거리

 

'지번이 산 00번지+ 지목이 '임야'일 경우에는 '임야대장'을 봐야 하고요! 만약 지번이 '산'자가 없이 그냥 '00번지+ 지목이 '임야'라면 '토지대장'을 봐야 한다는 것이에요! 이 둘의 공부의 서식은 동일하고 제목 타이틀만 달라요! 그러하기에 제공하는 정보는 동일하다는 것은 포스팅의 하단에서 확인 가능할 거예요! 아래 그림은 토지대장인데요! 한 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공하는 정보는 붉은 점선으로 표시된 토지 소재, 지번, 지목, 면적 그리고 소유자, 하단의 개별공시지가인데요!

 

토지대장 샘플

 

'토지소재'는 토지가 어느 지역에 있는지를, '지번'은 토지의 번지수를 알려주고요.

토지 표시란에 보면, '지목'은 토지의 쓰임새인데, 28개 지목 중에 한 개가 표시되지요! '면적'은 토지의 면적을, '사유'는 토지의 지목이나 면적이 바뀐 경우 그 이유와 바뀐 날짜를 알려 주지요!

 

호치민 여행자의 거리

 

토지 표지란의 우측에 소유자란을 보면, '변동일자'는 토지 주인이 바뀌었을 때 그 바뀐 날을, '변동원인'은 토지 주인이 바뀐 원인을 알려주고요. '주소'는 토지 소유자의 주소를, '성명 또는 명칭'은 토지 주인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알려 주고요. '토지 수정'과 '토지등급'은 예전에 사용하다가 요즘은 사용하지 않고요!'개별공시지가'는 해당 토지의 개별공시지가를 알려주는데, 각종 세금 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지요!

 

호치민 여행자의 거리

 

토지대장에서 눈여겨봐야 할 것은 토지 소재와 지번, 지목, 면적이에요! 특히 농어촌 주택의 경우 농지에 주택을 지은 경우가 있는데, 지목이 '대'인 줄 착각할 수 있으니까요. 반드시 토지대장을 확인해야 한다는 점 주의가 필요해요! 아래 그림은 임야대장인데요! 보는 바와 같이 위의 토지대장과 서식이 동일한데요! 다만 아래 청색원으로 표시된 지번과 지목 부분을 보면, 지번이 '산'이고, 지목이 '임야'인 경우는 임야대장을 봐야 한다는 거예요! 그 외에는 토지대장을 봐야 한다는 것이고요!

 

임야대장 샘플

 

임야대장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토지대장의 내용을 참고하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빠트린 게 하나 있는데요! 건축물대장에서도 이야기하였지만 토지의 표시 부분이 등기부등본상의 토지 부분과 서로 다른 경우에는 토지대장이 우선이고요! 반대로 소유자와 관련된 사항이 토지대장과 등기부등본이 상충될 경우에는 등기부등본이 우선한다는 점 또한 잊으면 안 됩니다.

 

호치민 여행자의 거리

 

지금까지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는데요! 이 두 개의 지적공부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도 임야도 내용 및 거리산정 이해  (0) 2022.09.19
부동산종합증명서 이해  (0) 2022.09.17
건축물대장 이해  (0) 2022.09.14
토지등기부 등본 이해  (0) 2022.09.12
건물등기부등본 이해  (2) 2022.09.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