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용 오피스텔 재산세 계산 이해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공부

업무용 오피스텔 재산세 계산 이해

by 도전하는나 2022. 12. 31.

부동산 공부

 

주위에 보면 오피스텔의 임대수입을 목적으로 투자를 한 분들이 좀 있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만약 투자목적이든 실거주 목적이든 간에 매년 납부해야 할 재산세에 대해 어느 정도 내용을 알고서 접근한다면 좀 더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는데요. 절세를 고려하는 것은 필수이잖아요.

 

신천 결빙

 

먼저, 오피스텔의 재산세에 대한 법적인 근거는 지방세법에 있기 때문에 관련사항에 대해 세부적으로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 법을 봐야 하고요. 그리고 재산세는 7월과 9월에 납부하는데요. 7월에는 주택분 반(1/2)과 건물분을, 9월에는 주택분 나머지 반(1/2)과 토지분을 납부하게 되고요.

 

건축물분 재산세 계산 절차

 

먼저, 업무용 오피스텔의 재산세를 계산하는 절차부터 알아볼게요. 업무용 오피스텔의 시가표준액은 '건물분'과 '토지분'을 각각 구해야 하는데요. 참고로 시가표준액은 서울의 경우는 '이텍스'에서, 그 외 지방의 경우는 '위텍스'에서 확인이 가능하고요. 국세청의 홈텍스에서 제공하는 '기준시가'는 국세, 즉 상속세나 증여세 등을 계산할 때 적용하는 가액이니 서로 맞지 않아요. 왜냐하면 기준시가는 국세청장이, 시가표준액은 지자체장이 결정고시·공시하기 때문이지요. 헷갈리면 안 되고요.

 

대구 신천 결빙

 

건축물분 재산세 계산구조

업무용 오피스텔 건물분 재산세 산정

 

위의 그림과 같이 과세표준부터 구해야 하는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건물공시가액을 구해야 하고요. 건물공시가액은 서울은 이텍스에서, 그 외지역은 위텍스에서 확인 가능한데요. 시가표준액을 조회하면 되는데요.

 

임의 오피스텔에 대해 건축물 시가표준액 조회

 

특정 오피스텔에 대해 건축물에 대한 시가표준액을 조회하니 6,697만 원이 나오네요. 이 값에 공정시장가액 70%를 곱하면 이 오피스텔의 건축물분의 과세표준이 계산되는데요. 과세표준은 약 4,688만 원이 되고요. 다음 절차가 세율을 곱해주면 재산세가 계산되는데, 업무용 오피스텔의 건축물의 재산세 세율은 0.25%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 값을 곱해주면 11.7만 원이 나오네요. 도시지역분 재산세나 지방교육세 등은 앞에서 산출된 값을 곱해주면 되니 크게 문제 될 게 없을 것 같네요.

 

위의 임의 오피스텔의 건축물분 재산세 등 계산결과

 

이텍스 계산결과 검산

아래 그림은 이텍스에서 검산을 해 봤는데요. 참고하고요. 제가 빠트린 게 있는데 지역자원시설세인데요. 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것을 볼 수 있고요.

 

이텍스에서 건물분 재산세 검증

 

토지분 재산세 계산 절차

 

다음은 오피스텔의 토지분 재산세를 산정해 볼게요. 계산하는 구조는 위의 건축물분과 동일하다고 보면 되는데요. 다만 절차와 내용이 좀 다른데요. 과세표준을 구함에 있어 개별공시지가를 구해야 하는데요.

 

토지분 재산세 계산구조

오피스텔의 경우 집합건물 형태로 되어 있다 보니 '대지지분'을 알아야 하는데요. 대지지분은 등기부등본에서 '해당 지번의 전체면적'과 '해당 호수의 대지권 비율'을 서로 곱하면 알 수 있는데요. 그리고 사례 오피스텔의 지번 동호수의 등기부를 보면, 전체면적이 17564.3㎡이고, 대지권비율이 17564.3분의 19.0628이네요. 대지지분을 구하면 19.0628이고요.

 

업무용 오피스텔의 토지분 재산세 산정

 

그리고 해당 지번의 개별공시지가는 '토지이음'이나 '공시지가 알리미' 등에서 확인 가능한데요. 해당 지번의 '㎡당 개별공시지가'는 270만 원이 나오네요. 이를 대지지분 19.0628㎡과 ㎡당 개별공시지가 270만 원을 곱하면 개별공시지가 5,146만 원이 되고, 이 값을 공정시장가액 비율 70%를 곱해주면 과세표준은 3,602만 원이 되네요. 좀 길었지요.

 

별도합산과세대상 토지 재산세 세율

 

사례 오피스텔의 토지분 재산세 계산

다음은 세율인데요. 위의 그림에서 보면, 업무용 오피스텔의 토지는 별도합산과세대상 토지인데요. 과세표준 구간은 3개 구간으로 되어 있고요. 위의 사례인 경우는 2억 원 이하로 그냥 0.2%의 세율만 과세표준에 곱하면 업무용 오피스텔의 토지분 재산세가 계산되겠네요. 아래 그림은 해당 지번 오피스텔의 토지분 재산세 등을 산정한 결과이니 참고하고요.

 

위의 임의 오피스텔의 토지분 재산세 등 계산결과

 

이텍스 계산결과 검산

이를 이텍스에서 토지분 재산세를 검산하면 아래와 같은데요.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네요.

 

이텍스에서 토지분 재산세 검증

 

업무용 오피스텔 재산세는 건축물분과 토지분을 따로따로 구해야 하고요. 토지분을 구할 때 해당 호수의 대지지분을 산출하는 것도 같이 살펴봤는데요.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포스팅을 하다 보니 2022년의 마지막 날 포스팅이네요. 남은 시간 마무리 잘하시고 보다 성장하는 2023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댓글